본문 바로가기

삼국지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2

당시 조조는 십만대군을 이끌고 있었는데
80만 대군이라고 큰소리쳤습니다.
강동으로 내려와 창장의 서북쪽에 포진했습니다.
즉 현재 후베이 성의 적벽시 부근이죠.
조조의 군대는 창장 서북쪽에 포진했습니다.
전함이 강을 가득 메웠고,
군기가 바람 속에서 휘날렸습니다.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었죠.
이 소식을 접한 강동의 제후들은
대경실색하며 두려움에 벌벌 떨었습니다.
이에 조조에게 즉시 투항하자고 건의했습니다.
하지만 34살의 젋은 장군 주유는
조조의 수십만 대군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머리에 푸른실로 잔 두건을 쓰고
손에는 깃털로 만든 부채를 들고는
태연자약하게 군대를 지휘했습니다.


담소를 나누는 사이
조조의 수십만의 대군이 재가 되었다고 합니다.
막강한 적군은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이중텐 교수가 적벽대전을 분석한 것에 의하면
적벽대전의 주인공인 주유는 멋진 젋은 영웅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국지연의’의 묘사에 따르면
적벽대전의 주인공은 제갈량이고
주유는 제갈량의 지모를 돋보이게 하는 조언으로
속이 좁은 사내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역사 속의 주유는 어떤 성격을 지닌 영웅일까요?
실제적으로 또 역사적으로 주유는
영웅이미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24살 때
손책에 의해 건위중랑위에 임명되어
오나라에서는 그를 주랑이라고 불렀죠.
당시 오나라 사람들은
그를 주랑이라고 불렀으며 손책은 손랑이라고 불렀죠
‘랑’은 원래 청년이라는 뜻이죠.
하지만 당시에는 찬미의 의미가 있었어요.


손랑은 손 훈남이라는 뜻이고,
주랑은 주 후남이라는 뜻이지요, 
훈남은 여자들이 따르기 마련이죠.
또 훈남은 미녀를 좋아합니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자고로 미인은 영웅을 좋아한다.
자고로 미인은 젊은이를 좋아한다.
고로 미인은 젏은 영웅을 가장 좋아한단 말이겠죠.
주유와 손택은 젊은 영웅이었습니다.
덕분에 손책과 주유는
강동의 최고의 미녀들과 혼인했습니다.
바로 교공의 두 딸인 대교와 소교입니다.


이 당시의 주유는
전장과 관직 사랑에서 원하는 바를 다 이뤘어요.
생각에 보십시오.
24세의 젋은이가
한 지역의 장수가 되어
전장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이지역 최고의 미녀을 아내로 맞았으니
남자로서 이보다 더 한 행복이 있을까요?
소동파는 이 일을 언급하면서
주유를 부러워하는 마을을 표현했챦습니까?
소동파도 사에서 노래하고 있습니다.


‘공근(주유)이 새색시 소교를 맞은 해’ (공근은 주유의 자) 
어떤 기분이 들까요?
전 부러운 마음이 듭니다.
모든걸 다 갖은 사람이
다름 사람을 질투할 리 있을까요?
다른 사람들이 질투했을 테죠.
그가 다른 사람을 질투해 화를 냈을 리 만무합니다.
그것 말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실제적으로 또 역사적으로 주유는 도량이 넓은 인물입니다.
‘삼국지’에서는 주유를 마음이 넗은 인물이라고 표현했죠.
도량이 넓고 인품이 좋다고 말입니다.


동시대 사람은 그를 높이 평가했어요.
유비는 그를 도량이 넓은 사람이라고 했죠.
장간은 아량이 있고 고고하다고 표현했습니다.
말나온김에 더 붙치자면
장간도 잘못된 이미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간이 주유의 군영을 찾아간 것은 맞습니다.
둘은 오랜 친구였으니깐요.
하지만 장간은 서찰을 훔치지 않았습니다.
때때로 역사는 진실과 거리가 멀리도 합니다.
따라서 역사의 진실은 헤아리기 힘듭니다. 


사실 모든 역사적인 사건과 역사 인물은
세가지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첫째 역사 본래의 모습으로
이것을 ‘역사이미지’라고 부릅니다.
역사학자가 주장하는 모습이지요.
예를 들어 삼국지의 기록입니다.
두번째는 문학예술작품속의 모습으로
‘문학이미지’라고 합니다.
문학가와 예술가가 주장하는 모습이죠.
또 다른 하나는 일반백성이 주장하는 모습으로
‘민간 이미지’라고 합니다.


민간신앙속에 나타나는 역사인물의 이미지나
개개인의 마음속에 있는 역사인물의 이미지 말입니다.
우린 저마다 마음속에 역사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역사 드라마든 역사 영화든
역사극을 보고난 후에
연기자가 배역을 제대로 연기하지 못했다고 비평합니다.
‘조조 같지 않아’ ‘주유 같지 않아’
‘임대옥 같지 않아’ ‘가보옥 같지 않아’라고 하죠.
당사자를 보지도 못했으면서 그걸 어떻게 압니까?
사람들의 마음속에 이미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을 ‘민간이미지’라고 합니다.
이 세가지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삼국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6  (0) 2020.12.13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5  (0) 2020.12.13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4  (0) 2020.12.11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3  (0) 2020.12.10
[이중톈의 삼국지 강의 ] 1  (0) 2020.12.06